본문 바로가기
글쓰기

주판 그리고 ...

by 나도처음이야 2019. 8. 16.
반응형

 

어린 시절 주산 학원을 다녔다.

상장은 개근상, 독서상, 노력상 등의 공부머리보다는 노력에 비추어진 상장만 받았던 기억이 나는데

어머니의 열성적인 뒷받침으로 주산으로는 여러상을 받았고, 3학년 때는 드디어 초등부 대상을 받게 되었다.

그리고, 그때 이후는 잘 생각나지 않는다.

 

30여년이 훌쩍 지난 버린 지금.

어느 날 아들이 수학 셈을 하는 도중 나에게 질문을 한다. 수셈에 대해서.

나도 모르게 엄지 검지를 움직여 계산을 했는데, 생각해보니 이게 주산 학원에서 주판을 이용해 덧셈을 하던 방식이 아닌가. 

순간 신기했고, 그 순간의 기억을 잊지 않기 위해서, 부모님 집에 들러 30여 년 전 내가 쓰던 주판을 다시 찾았다.

 

나무로 된 내 주판은 낡고 부스러진 부분도 보인다.

하지만 어머니가 곱게 정성들여 만들어주셨던 주판 집을 보니, 

고사리 같은 손으로 주판을 튕기던 나의 모습과 주산 학원에 매일같이 동행해주셨던 어머니의 모습이 교차된다.

그 시절, 주산 학원에서는 아이들에게 수업전 몸 풀기? 손가락 풀기로 125, 165, 365를 연습시켰다.

교실을 꽉 채운 아이들의 빠른 손놀림으로 이내 학원은 짹짹짹 짹!!!! 하는 주판알 소리로 가득 찼다,

 

난 지금 다시 125를 튕겨본다

그때처럼 빠르진 않지만, 손가락은 기억한다. 

주판알들은 위로 위로 올라가며 셈을 더 해 간다.

반복된 나의 패턴 훈련은 나를 다시 30년 전 그곳으로 데려다주었고, 어머니의 회상을 떠올려주었다.

가슴이 먹먹해진다.

며칠 후, 난 새 주판을 샀다.

주판은 그 시절의 나무는 아니고, 플라스틱 재질이다

내 구성은 튼튼했지만, 예전의 짹짹짹 짹 소리가 날지는 의문이다. 그리고 그 시절 주판 특유의 향도 없다.

하지만 난 다시 125를 놓아본다.

초등학생인 아들은 3년째 바이올린을 배워오고 있다.

전공을 할 것은 아니지만, 제법 흥을 느끼며 내 곁에서 간혹 연주를 해준다.

바이올린은 손가락을 자신이 볼 수 없는 구조이지만, 손가락이 감각한다는 점에서 주판과 유사하다.

이 아이가 어른이 되었을 때,

주판의 기억처럼,

바이올린이 아들에게 스스로 위안과 소소한 행복감을 가져다주는 그런  아들만의 도구가 되길 바라본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