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바스크립트 비교 연산자 중!= 를 알아봅니다.
not equal 로 불리는!= 연산자는
값이 다를 경우 true 결과값을 보여 줍니다. 위의 경우 X가 5일 경우 비교대상 오른쪽 변수 값이 8이라면
결과는 true 입니다.
예제를 만들어 봅니다.
<h1>JavaScript Comparison</h1>
<h2>The != Operator</h2>
<p>Assign 5 to x, and display the value of the comparison (x != 8).</p>
<p id="demo"></p>
<script>
let x = 5;
document.getElementById("demo").innerHTML = (x != 8);
</script>
해당 결과는, true입니다.
즉, 값이 같지 않다는 것이 참이라는 의미입니다.
X 가 5라면 결과는 false 가 나옵니다. 값이 같기 때문이죠.
값뿐만 아니라 데이터 타입까지 비교가 필요하다면!== 연산자가 필요합니다.
!== 연산자는 다음 포스팅에서 정리해 봅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앱 만들기 > JavaScript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 함수 사용 방법 (6) | 2023.08.08 |
---|---|
JS Object 선언 하는 방법 (3) | 2023.08.07 |
자바스크립트 비교연산자(==) (0) | 2023.07.29 |
자바스크립트 비교연산자(===) (8) | 2023.07.28 |
브라우저 자바스크립트 활용하기 (2) | 2023.07.27 |
댓글